맨위로가기

원빈 홍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빈 홍씨는 조선 정조의 후궁으로, 전라도 관찰사 홍창한의 손녀이자 홍국영의 누이이다. 1778년 12세의 나이로 정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원빈의 작호와 숙창궁의 궁호를 받고 입궐했으나, 이듬해 사망했다. 사후 인숙이라는 시호와 효휘궁, 인명원의 원호를 받았으나, 홍국영 몰락 후 인명원과 효휘궁의 이름은 혁파되었다. 정조는 원빈의 행장을 직접 지었으며, 현재 묘는 서삼릉 권역 내 후궁 묘역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9년 사망 - 제임스 쿡
    제임스 쿡은 18세기 영국의 탐험가이자 해군 장교로서, 세 차례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을 탐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 지리적 발견에 기여했으며 남극권에 진입하고 하와이 제도를 기록했으나, 하와이에서 원주민과의 충돌로 사망했다.
  • 1779년 사망 - 장 시메옹 샤르댕
    장 시메옹 샤르댕은 18세기 프랑스의 화가로, 정물화와 풍속화를 주로 그렸으며, 소박한 일상을 섬세하게 묘사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고,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풍산 홍씨 - 홍명희
    홍명희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소설가, 정치인으로, 장편소설 《임꺽정》으로 유명하며, 독립운동 참여, 언론 및 교육계 활동 후 해방 후 남북협상 참여, 월북하여 북한에서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역할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풍산 홍씨 - 홍진
    홍진은 대한제국 시기 법관, 변호사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법무총장, 내무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광복 후 비상국민회의 의장을 지낸 독립운동가이다.
  • 1766년 출생 - 니콜라이 카람진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러시아의 저명한 작가이자 역사가로, 혁신적인 산문과 『러시아 국가의 역사』 저술, 감상주의 문학 도입, 잡지 창간, 러시아 역사 연구의 지평을 열었으며, 러시아 알파벳에 'Ё/ё' 자를 도입하고 알렉산더 1세의 정치적 조언자로도 활동했다.
  • 1766년 출생 -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은 의학에서 과학으로 전향하여 팔라듐과 로듐을 발견하는 화학적 업적과 더불어 태양 스펙트럼 흑선 발견, 카메라 루시다와 윌러스턴 프리즘 발명 등 물리학 및 광학 분야에도 기여했으며 왕립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나, 체계적인 발표 부족으로 덜 알려졌다.
원빈 홍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원빈 홍씨
한자元嬪 洪氏
로마자 표기Wonbin Hongssi
다른 로마자 표기Wonp'in Hongssh'i
가문풍산 홍씨 (출생 시)
전주 이씨 (혼인 시)
출생일1766년 5월 27일
출생지한성 서강방, 조선
사망일1779년 5월 7일 (향년 12세)
사망 장소창덕궁, 한성, 조선
묘소원빈묘, 서삼릉
시호인숙 (仁淑)
신분
품계정1품 빈
재위 기간1778년 6월 – 1779년 5월 27일
유형재위
가족 관계
아버지홍낙춘
어머니우봉 이씨 부인
배우자정조
자녀이담, 상계군 (양자)
종교
종교한국 불교

2. 생애

원빈 홍씨는 1766년 5월 27일 풍산 홍씨 가문에서 태어났다. 전라도 관찰사 홍창한의 손녀이자 호조 참판 홍낙춘(洪樂春)의 딸이며, 어머니는 우봉 이씨이다. 정조 대 권신인 홍국영의 누이동생이다.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와는 11촌 고모와 11촌 조카뻘이 되는 친척 관계였다.[8] 아버지를 통해 원빈 홍씨는 혜경궁 홍씨의 11촌 당숙녀이자 홍주원정명공주의 5대손이기도 하다.

1778년(정조 2년) 12세의 나이로 정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원빈(元嬪)의 작호와 숙창궁(淑昌宮)의 궁호를 받고 입궐하였다. 조선 역사상 삼간택과 가례 절차를 밟지 않고 처음부터 빈으로 입궁한 유일한 사례였다. 대명집례의 귀비 및 세자빈에 관한 부분을 참고하고 조선의 전례를 참작하여 가례를 치렀으며, 생전에 조정과 약방의 문안을 받는 등 이례적인 대접을 받았다.[8]

그러나 입궁한 지 1년 만인 1779년 음력 5월에 원빈은 갑작스럽게 사망하였다. 사인은 가짜 임신을 은폐하려다 실패하여 슬픔에 잠겨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시호는 인숙(仁淑), 궁호는 효휘궁(孝徽宮), 원호는 인명원(仁明園)이라고 했다.[8]

사후, 정조는 직접 《어제인숙원빈행장(御製仁淑元嬪行狀)》을 써서 원빈에 대한 각별한 마음을 표현했는데, 이는 국왕이 후궁의 행장을 작성한 이례적인 일이다.[9] 그러나 원빈의 오빠 홍국영이 몰락하면서, 1786년(정조 10년) 11월, 인명원과 효휘궁의 이름은 혁파되었다.[8]

원빈 홍씨의 무덤은 처음에는 고려대학교 경내에 있었으나, 현재는 고양시 원당의 서삼릉 권역 내 후궁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고려대학교 경내에는 구 인명원터가 남아 '애기능'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2. 1. 간택과 입궁

전라도 관찰사 홍창한의 손녀이자 호조 참판 홍낙춘(洪樂春)의 딸로, 정조 대 권신인 홍국영의 누이이다.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와도 친정 11촌 고모와 11촌 조카가 되는 친척이다.[8]

1778년(정조 2년) 음력 6월, 12세의 나이에 정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원빈(元嬪)의 작호와 숙창궁(淑昌宮)의 궁호를 받고 입궐하였다.[8] 조선 역사상 삼간택과 가례의 절차를 밟지 않고 처음부터 빈으로서 궁중에 들어온 유일한 사례이다.

대명집례의 귀비 및 세자빈에 관한 부분을 상고하고 우리나라의 전례를 참작하여 가례를 치렀으며, 생전에 조정과 약방의 문안을 받는 등 여러 면에서 이례적인 대접을 받았다.[8] 왕실의 후궁으로서 그녀는 중국 궁중의 정실 부인처럼 대우받았다고 전해진다. 신하들과 의원들의 조조 문안을 받았고, 사후에도 작위가 추증되었다. 그녀의 친오빠인 홍국영은 당상관으로서 정조와의 혼인을 통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려 했다.[3]

2. 2. 궁중 생활과 죽음

1778년(정조 2년) 음력 6월, 12세의 나이에 정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원빈(元嬪)의 작호와 숙창궁(淑昌宮)의 궁호를 받고 입궐하였다.[8] 조선 역사상 삼간택과 가례의 절차를 밟지 않고 처음부터 빈으로서 궁중에 들어온 것은 원빈 홍씨가 처음이었다. 왕실의 후궁으로서 그녀는 중국 궁중의 정실 부인처럼 대우받았다고 전해진다.[3] 생전에 조정과 약방의 문안을 받고, 사후 시호와 원호를 받는 등 여러 면에서 이례적인 대접을 받았다.[8]

그러나 이듬해 음력 5월 갑작스럽게 사망하였는데, 시호는 인숙(仁淑), 궁호는 효휘궁(孝徽宮), 원호는 인명원(仁明園)이라고 했다.[8] 원빈 홍씨는 가짜 임신을 경험하고 은폐하려 했으나 실패하였고, 결국 슬픔에 잠겨 1779년 5월 7일에 사망하였다.[3]

사후 동기 홍국영이 몰락한 후, 1786년(정조 10년) 11월, 인명원에만 격례에 벗어난 의식을 새로 추가한다는 것은 사례에 비추어볼 때 어찌 미안하지 않느냐는 신하의 물음과 국가 전례에 관계된 일이 전례에 어긋났다는 이유로 인명원과 효휘궁의 이름은 혁파되었다.[8]

2. 3. 사후

원빈 홍씨는 1779년(정조 3년) 음력 5월에 갑작스럽게 사망하였고, 정조는 그녀에게 인숙(仁淑)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효휘궁(孝徽宮)이라는 궁호와 인명원(仁明園)이라는 원호를 내렸다.[8] 정조는 대명집례의 귀비 및 세자빈에 관한 부분을 참고하고 조선의 전례를 참작하여 원빈 홍씨의 가례를 치렀으며, 생전에 조정과 약방의 문안을 받고 사후 시호와 원호를 받는 등 이례적인 대접을 하였다.

정조는 직접 《어제인숙원빈행장(御製仁淑元嬪行狀)》을 써서 원빈에 대한 각별한 마음을 표현했는데, 이는 국왕이 후궁의 행장을 작성한 이례적인 일이다.[9] 《어제인숙원빈행장》에는 혜경궁 홍씨가 원빈에게 각별한 정을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9] 이는 혜경궁 홍씨가 직접 쓴 《한중록》의 내용과는 상반되며, 《순조실록》에서도 혜경궁 홍씨와 원빈의 관계가 각별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다.[10]

원빈 홍씨의 오빠 홍국영은 원빈이 효의왕후에게 용서받지 못하고 죽었다고 생각해 효의왕후를 독살하려 했으나 실패하였다.[5]

원빈 홍씨의 무덤은 처음에는 고려대학교 경내에 있었으나, 현재는 고양시 원당의 서삼릉 권역 내 후궁 묘역으로 이장되었다. 고려대학교 경내에는 구 인명원터가 남아 '애기능'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정조는 직접 원빈 홍씨의 비문을 지었다.[4]

2. 4. 홍국영과의 관계, 그리고 몰락

원빈 홍씨는 정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궐하였으나, 이듬해 갑작스럽게 사망하였다. 사후 원빈의 오빠인 홍국영이 몰락하면서, 1786년(정조 10년)에는 인명원과 효휘궁의 이름이 혁파되었다.[8]

홍국영은 누이의 죽음에 대한 분노와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 효의왕후를 독살하려 했다. 그러나 이 시도는 효의왕후가 그의 계획을 알아차리고 정조에게 알리겠다고 위협하면서 발각되었다. 홍국영은 왕이 음식 의식에서 효의왕후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음을 알고 시도를 중단했고, 눈물로 고백하였다.[5]

2. 5. 혜경궁 홍씨와의 관계

혜경궁 홍씨는 원빈 홍씨의 친정 11촌 고모뻘이 된다.[8] 정조는 혜경궁 홍씨가 원빈에게 각별한 정을 나타냈다고 기록했지만,[9] 혜경궁 홍씨가 직접 쓴 《한중록》의 내용과는 상반된다.[10]순조실록》의 혜경궁 홍씨 행장에는 원빈과 관련된 혐의가 있으나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다.[10] 고전소설 《숙창궁입궐일기》에서는 혜경궁 홍씨가 효의왕후 편인 것처럼 묘사되기도 한다.[1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홍창한1698년 ~ ?
할머니유씨(兪氏)유두기의 딸
백부홍낙순1723년 ~ ?
사촌홍복영
숙부홍낙빈1732년 ~ ?
아버지홍낙춘
어머니우봉 이씨
오빠홍국영1748년 ~ 1781년 4월 28일 (음력 4월 5일)
남편정조1752년 10월 28일 (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 (음력 6월 28일)
양자상계군 이담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
11촌 대고모혜경궁 홍씨1735년 8월 6일 (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 (1815년 음력 12월 15일)



원빈 홍씨의 친할아버지 홍창한홍봉한, 홍인한, 홍상한 등의 8촌 형으로, 조선시대의 유교 종교법과 종교법에 근거한 대전통편, 그리고 1970년 이전의 대한민국 관습법에 의하면 법적 친척이었다. 그러나 1910년 이전까지는 8촌 범위를 바로 벗어난 친척은 무복친이라 하여, 조선왕조는 사회통념상 친척의 범위에 포함시켰다.

참조

[1] 웹사이트 인명원(仁明園) http://encykorea.aks[...] 2021-07-22
[2] 웹사이트 묘 이야기 https://royaltombs.c[...]
[3] 서적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 조선의 혼이 지다 https://books.google[...] 해냄출판사 2013-09-30
[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5] 서적 한중록 (한국고전문학전집 003) https://books.google[...] 문학동네 2019-10-29
[6] 뉴스 '이산'의 여인들 갈등 빚으며 대립 ‥ '홍국영 누이동생' 원빈홍씨 눈길 https://www.hankyung[...] 2008-03-19
[7] 웹사이트 '옷소매' 이준호, 이세영에 고백+입맞춤.."유일하게 연모한 여인"[★밤TView] https://entertain.na[...] MT Star News 2021-12-25
[8] 웹인용 정조실록 22권, 정조 10년 11월 11일 신사 1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9] 웹인용 어제인숙원빈행장(御製仁淑元嬪行狀) http://yoksa.aks.ac.[...]
[10] 웹인용 순조실록 혜경궁 지문 http://sillok.histor[...]
[11]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숙창궁입궐일기 http://100.daum.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